개인주의의 한국사적 고찰
한국 사회에 개인주의적 사상이 어렴풋하게나마 처음 전해진 것은 조선 말, 19세기 중엽이었다. 이 시기 개화파 사상가들은 서구의 자유주의를 수용하면서 처음으로 개인, 자유, 권리와 같은, 한자로 번역된 자유주의 용어를 쓰기 시작했다. 경제적으로는 박규수, 김옥균 등의 생각에서 자유방임적 시장 경제 원리를 스스로 깨달아가고 있는 모습이 나타난다. 당시 대원군의 경제 정책은 시장 개입 정도가 아니라 시장 조작에 가까웠는데, 당백전(當百錢) 등의 고액 화폐를 대량 주조하는 등 통화 남발과 가격 조작 행위에 심각하게 의존하고 있었다. 박규수(朴珪壽, 1807 – 1877)는 고종에게 대원군이 실시한, 화폐와 상품의 가치를 교란시키는 무원칙한 시장 조작 행위를 따르지 않도록 당부했다. 이는 재정 정책에 대한 김옥균의 사상에도 그대로 계승되었다. 하지만 구한말 개화파 지식인들이 관심을 가졌던 자유주의는 개인주의에 기반을 둔 영국식 자유주의의 본질적 내용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