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검색
작성자 사진Baeminteacher

민족주의 없는 한국사는 가능할까



* 며칠 전 적었던 블로그 글 <일본의 역사와 사회 (3)>을 수정 보완하여 작성한 기고글입니다.




대방동 공군장병 순국 위령비






사람들이 여행을 가는 이유는 모두 다양할 것이다. 최근에는 엔화의 약세로 많은 한국 사람들이 일본으로 여행을 가고 있다. 바로 옆나라이고 언어도 비슷하니 여행하기 여러모로 편한 면도 있을 것이다.


나의 경우는 일본에 여행 가게 되면 많이 이동하지 않는 편이다. (연극이나 오페라, 판소리를 원래 좋아하다 보니) 가부키를 관람하거나, (이 역시 나무와 숲을 좋아하고 걷는 것을 원래 좋아하다보니) 절이나 공원을 찾아가 산책을 즐긴다. 오래된 절이나 옛날 전통식 정원에는 말차를 파는 전통 찻집이 있기 마련인데, 나는 그런 찻집에서 말차를 마시는 걸 즐긴다. 일본 젊은 사람 중에도 가부키나 노를 관람하거나 (말차라떼가 아닌) 말차를 마시는 사람은 찾기 드문데, 그러다 보니 자연히 일본 여행을 하다보면 내가 노인 취향의 여행을 하고 있음을 느끼게 된다.


어찌보면 당연할 것이다. 단지 내가 역사교사여서 만은 아니다. 그보다는, 내가 좋아하는 일본의 모습은 사실 지금의 일본이 아닌, 데즈카 오사무 감독의 우주소년 아톰 (鉄腕アトム)이나 오즈 야스지로 감독의 동경 이야기 (東京物語) 등에서 볼 수있는 전후 일본 사회의 정서와 문화이다. 일본의 1950-60년대는 과거의 아픔에 대한 상처를 간직하면서도 미래에 대한 긍정과 전통에 대한 겸손함을 잘 간직한 시대였다. 무엇보다 건전한 희망이 사회적으로 분출된 시대였고, 이는 내가 한국의 1970-80년대를 좋하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사람들은 흔히 일본의 전성시대로 80년대-90년대 초반까지의 버블 경제 시대를 떠올리지만, 일본 현대사의 실질적 전성기는 50-60년대였다고 나는 생각한다. 물론 더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면 메이지 시대의 철학적 고민과 성과에서 연원을 찾을 수도 있지만, 이 시기에 복구된 (전쟁으로 무너졌었던) 사회경제적 토대는 이후 일본 사회문화의 부흥을 천천히 도래하게 만들었다고 볼 수 있다. 한국 역시 마찬가지이다. 60년대 중반부터 방향을 제대로 잡고 87년 이전까지 열심히 건설한 사회경제적 토대가 2000년대에 와서 지하철역 마다 에스컬레이터를 세우는 사치와, 급기야 교육의 무상급식을 제공하는 포퓰리스트 정책까지도 가능하게 해준 경제적 기반이 되었다.

 

역사에서 보면 어느 사회나 열심히 일한 세대가 따로 있고, 편안히 그 과실을 따먹는 세대가 따로 있는데, 한국 현대사만큼 극명하게 이를 잘 보여주는 사례는 없을 것이다. 한국 사회와 비교하면 일본은 50-60년대 이후에도 근면과 자조, 협동 (이 전통적 쇼와시대 일본의 가치를 채택한 것이 박정희와 군사정권의 새마을 운동이었다)의 사회적 전통이 한국 처럼 완전히 끊기지 않고 지속되어 왔다. 여러모로 한국은 87년 체제 이후 사회의 정신 수준이 타락하고 오만해지고 사치스러워졌는데, 이는 '왜색을 지우기' 위해 노력한 아이러니한 결과이다.

 



대방동 공군장병 순국 위령비




한국 근현대사를 공부할 수록, 내가 왜 이승만 보다 박정희와 전두환 시대를 더 좋아할 수밖에 없는지를 나 자신 스스로 이해하게 된다. 내가 석사 논문을 쓰면서 분석했었던 1958년 손창섭의 소설 <잉여인간>은 전후 1950-60 년대 대한민국의 사회 분위기를 잘 반영한다. 거기엔 아톰이나 노리코 (동경 이야기에 나오는 노부부의 막내 며느리)를 통해 읽을 수 있는, 어려움 속에서도 희망의 눈물을 간직한 사회 분위기가 읽히지는 않는다. <잉여인간> 뿐 아니라 <오발탄>과 <자유부인>으로 대표되는, 무질서와 황량함, 퇴폐가 오히려 그 시대의 주된 정서에 가까왔다. 서만기(<잉여인간>의 주인공 치과의사)는 그래서 아톰보다도, 노리코 보다도 더 비참한 주인공일 수 밖에 없었다.

 

이승만은 극심한 반일주의자였다. 그의 반일주의 정책은 2차대전 후 미국이 원했던 한국-일본-미국의 연합 전선을 형성하는데 실질적으로 가장 큰 장애물이었고, 결국 이는 대한민국 스스로에게도 좋지 않은 상황을 강요했던 측면이 있었다. 그리고 더 중요한 사실은 해방 이후 건국된 대한민국은 이승만이 시도했듯 반일을 바탕으로 미국적 자유주의적 시스템을 흉내내는 시도로는 도저히 사회 경제적 토대 구축은 커녕 전후 복구도 어려웠다. 왜 일본식 군사 훈련을 받고 일본 쇼와 시대의 엘리트 정신을 내재화했던 박정희가 일본의 정신 문화를 모델로 한 '잘 살아보세'와 '하면 된다' 와 같은 (liberal 한 미국 문화에는 찾아볼 수 없는) 슬로건을 가지고 (일제 시대 1910-20년대 때와 같은) 경제적 상황의 비약적 상승을 다시금 60-70년대에 재현시킬 수 있었는지를 이해해야 한다.


나는 한국인으로서 당연히 한국인이 일본인보다 더 정신적으로 높은 수준의 문화를 성취하길 염원하지만, 일본으로부터 우리가 무엇을 배웠고, 일본을 통해서 무엇을 더 배울 수 있는지를 현명하게 깨닫지 않으면, 김영삼 정부 이래로 계속 진행되어 온 대한민국의 사회문화적 정체 내지는 퇴행 현상을 치유하기 힘들 것이라고 진단한다.


한국인은 영미인들과는 전혀 다른 정서와 사고를 하는 사람들인데, 반일을 하다보니, 정확히 90년대 개방화 이후 중국 사회가 걸어온 길을 함께 답습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일본식이 아닌) 영미식 시장 자본주의를 따라하면서 서양 근대사에서 발전시켜온 철학은 빠져 있고, 그 외형만 쫓아가는 것이 그것이다. 그 결과, 물질주의, 중금주의의 만연 속에 개인의 지적, 도덕적 노력이 점점 약화되어 가는 흐름 속에 있다.

 

역사적 시각이 없이 현실을 살아가기 바쁜 일반 대중, 특히 어리고 젊은 사람들은 한국 사회가 반세기 가량 어느 방향에서 어느 방향으로 변화되어 그 결과 사회가 어떻게 변해왔는지 감을 잡지 못한다. 나이 드신 노인 분들은 딱히 철학이 없어도 피부로 과거와 비교해 한국의 정신 수준이 황폐화 되어 가고 있음을 느낀다.

 

정신 문화 자체가 흐려져 버린 안개낀 모습의 대한민국.. 내가 보기에 이 나라에 살고  있는 개인들에게 지금 필요한 것은 힐링이 아닌 철학이다. 겸손하게 자신을 반성하는 자세가 부족한 개인의 정신 속에 철학이 자리잡기 힘든 것과 마찬가지로, ‘우리’들의 (사실은 이 사회의 실체 불분명한 ‘대중’의) 통념과 정서가 비판 없이 공고히 흘러가기만 하는 사회에선 그 어떤 자성을 위한 목소리도 찾을 수 없을 것이다.

 

역사를 공부하면서 느껴야 하는 것은 ‘울분’이나 ‘자부심’이 아닌 ‘통찰’과 ‘겸허’이다. 내 지론은 간단하다. 한국사는 민족주의를 걷어내고 나면 비로소 진실이 보이기 시작한다.





대방동 공군장병 순국 위령비



+내가 근무하는 학교 (숭의여고)가 있는 서울 동작구 대방동은 예전에 공군 사령부가 있었던 곳이다. 원래 남산에 있던 숭의여고가 대방동으로 이전한 (2003년) 후에 나는 근무하기 시작 (2006년부터) 했지만, 학교 근방의 곳곳에서 과거의 흔적들을 쉽게 찾을 수 있다. 학교 정문 맞은 편에 있는 공군 참모총장 공관도 더이상 쓰여지진 않지만 건물과 부지는 그대로 남겨져 있고 (내가 숭의여고 초임 근무 시절엔 공관 정문 앞에 항상 헌병이 보초를 섰었던 기억이 난다), 공군 지원단의 부지와 건물은 지금도 기능하고 있다. 학교를 둘러싼 언덕을 걷다 보면 항상 마주치는 조형물이 하나 있는데 어느 날 사진을 찍으면서 기록을 자세히 살펴보게 되었다. 공군 장병들의 순국을 기리는 공군참모총장의 글이었다. 아무도 찾는 이 없는, 한적한 공원의 심심해 보이는 기념비이지만, 그 글을 통해 대한민국 군대의 엄숙한 기상을 느낄 수 있었다. 그리고 이 땅을 지키기 위해 목숨을 바친 순국 장병들의 혼을 생각했다. 무슨 무슨 민주 투사, 민주화 유공자 등등 특권화되어 버린 온갖 종류의 위훈들 속에 정말로 대한민국이라는 국가를 지키는데 몸을 바치신 분들을 이 나라는 얼마나 기억하고 있는가를 생각하면 가슴이 먹먹하다. 언제나 고생하는 사람 따로 있고, 주둥아리로 애국하는 사람은 따로 있다. 내가 정말 싫어 하는 것이 바로 후자의 위선자들이다.







입력 2024.02.16 10:27





Commenti


제출해주셔서 감사합니다!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