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주의는 어떻게 개인 간의 갈등을 해소하는가
개인주의는 ‘모든 개인은 자신의 고유한 행복을 저마다 자신만의 방식으로 자유롭게 추구해 나갈 수 있어야 한다’는 정신을 모체로 하고 있다. 그리고 이 문장에서 가장 중요한 단어는 맨 앞의 ‘모든’이라는 점을 지적하고자 한다. 우리가 개인의 행복이나 자유를 이야기할 때 이는 타인의 행복이나 자유와 거의 늘 상충됨을 기본적으로 전제한다. 단지 힘이 강한 한 개인의 행복과 자유를 위해서 다른 개인의 행복과 자유가 희생되어야 한다면 이는 개인주의의 원칙에 위배된다. 그런데 현실에서는 누군가의 행복이 다른 누군가에게는 불행이 되는 경우도 흔하다. 만약 어떤 사람이 자신의 행복은 다른 누군가가 자신에게 무엇인가를 해 주어야 이루어진다고 말한다면 그의 행복은 개인주의의 관점에서 정당화될 수 있을까? 가령 어떤 사람이 당신에게 당신이 그 사람에게 어떤 행동을 해주어야 그 사람이 행복해질 수 있다고 말하며 당신에게 그러한 행동을 하길 요구한다면, 그의 행복을 개인